부지 싸고, 환경민원 적고, 고형연료까지 사용하면 일거양득?

국립연구기관부터 지방정부 연구소까지 '특정유해물질 배출' 고심

 

[데일리그리드=강성덕 기자] 경남 주요 곡창지대인 함안군에 전문기업도 아닌 외국계 투자기업이 열병합발전소, 그것도 폐기물소각발전소를 건립·운영하겠다며 나서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엠함안이 굳이 SRF(고형연료 Solid Recovered Fuel)를 발전소 연료로 사용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LNG 대비 연료비가 20%나 절감된다는 경제성이다.

최근들어 고형연료를 신규사용하거나 기존 연료를 변경하려는 업체가 빠르게 늘고 있다.

문제는 LNG 사용시 대부분 질소산화물만 배출하지만 고형연료는 특정대기유해물질 등 다양한 오염원이 된다.

청정지역 경남 함안에서 '리클린 홀딩스'가 자회사인 '엠함안'으로 하여금 추진 중인 폐기물 고형연료인 열병합발전소는 어떤 성상의 고형연료를 사용할지 아직 모른다. 또 어디서 물량을 공급받을지, 균등한 품질을 어떻게 유지할지조차 주민들은 모른다.

고형연료에 대한 우려에 대한 관련자료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016년 6월, 연세대 환경공학부 서용칠 교수는 ‘SRF소각보일러의 문제와 운영과제’란 연구발표를 통해 SRF소각시설과 화력발전시설의 대기오염 배출량을 비교했다.

서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지배출 농도 면에서 전용보일러시설보다 열병합발전시설이 최대 6mg/S㎥ 높았다.

특히 열병합발전은 화력발전보다 계절별로 같거나 높은 먼지배출량(최대 8mg/S㎥)을 보여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의 주범임이 밝혀졌다.

열병합발전은 대기오염 배출현황에서도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면에서 최대 120ppm으로 화력발전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아황산가스는 안개가 많이 끼고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호흡기 질병 이환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 교수는 “열병합발전은 화력발전보다 계절별로 같거나 높은 먼지배출량(최대 8mg/S㎥)을 보인다”며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의 주범”이라고 주장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SRF 사용시설은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이 일반 소각시설과 동일하지만, 오히려 오염물질 배출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정한 대기오염배출허용 기준은 최소한의 안전수치이지 기준치가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다. 열병합발전시설이 들어서면 SRF 물량 확보를 위해 타 지역 폐기물의 유입이 불가피하고, 해당 지역은 어쩔 수 없이 폐기물 집산지로 전락한다. 또 이를 운송하는 트럭들로 인해 소음과 비산먼지에 대한 민원도 뒤따를 것이라는 걱정이다.

인천광역시에서도 지역내에서 고형연료를 사용하려는 업체가 늘자, 연구기관인 인천발전원(인발연)은 보고서를 통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 지난해 10월 경기도특사경은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업체에 대한 기획수사에서 도내 고형연료 제조 및 사용업체 75개소 중 36%인 27개소에서 위법행위가 적발됐다고 밝혔다.이 수사는 주민의 불안감 및 고형연료에 대한 피해를 예방해 달라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국회의원 등의 건의에 따라 진행됐다.(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가장 우려하는 문제는 기존 발전소 등에서 사용해 온 화석연료와는 전혀 다른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가능성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역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미세먼지에 대해서만 국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운전방식, 또는 오염방지시설, 어떤 연료를 쓰느냐에 따라서 생각치도 못한 유해물질이 나올 수 있다는 견해다.

인발연은 잇따른 고형연료 사용과 관련한 국내 이슈분석 및 쟁점사항도 곁들였다. 각 지역별로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민원을 묶어 소개했다.

경기 시흥시는 2015년 1월 A제지회사의 고형연료 사용에 대해 시흥시의회가 나서 "시설허가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기자회견이 지역언론에서부터 통신사에 이르기까지의 보도를 소개했다. 결국 이 회사는 방지시설에 76억원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했다.

같은 해 5월 경기 안성에서도 똑같은 민원이 발생됐다. 주민들의 집단민원과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면서 결국 B발전은 안성고형연료 발전소 사업을 취소하기에 이르렀다.

강원 원주시는 아직도 이 문제를 놓고 논란이 여전하다. 2016년 5월 사업시행사인 원주그린에너지가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완료했지만 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을 기준치인 0.1나노그램보다 훨씬 강화한 0.04나노그램으로 규정했다. 다른 대기오염물질의 경우도 법정기준보다 대폭 강화됐고 원료는 PE나 PP 등 폐합성수지로만 사용하도록 합의했다.

2015~2016년까지 충주시에서는 고형연료 생산업체인 C사가 사업확장을 하면서 몰래 고형연료 소각시설을 가동하다가 밝혀지면서 지역 최대 현안으로 급부상했던 사례.
이로 인해 시민들은 공장폐쇄연합을 구성해 결사적 반대에 나서면서 사업은 사면초가에 직면했다. 

충남 내포신도시는 2017년 6월, 내포그린에너지가 추진하는 고형연료 열병합발전시설에 대한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시설 視界 제로' 기사를 발단으로 주민-도청과 사업시행자간에 갈등이 빚어졌던 곳.

최근에서야 양측은 길고 긴 협상 끝에 기존의 고형연료 대신 LNG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처럼 고형연료에 대한 인식은 미세먼지로 인해 폐해의식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마당에 토착기업도 아닌 호주계 금융기업이 나섰다는데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실정.

일각에서는 엠함안이 운영 방식이나 고형연료의 품질은 물론 향후 우려되는 비산먼지와 소음, 향후 예측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실태를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주민들과 협의하기는커녕 행정관청에조차 비공개로 하는 것은 주민들을 얍보는 처사로 큰 장애를 부딪칠 수 있다고 했다.  
 
23일 엠함안의 모회사인 리클린 홀딩스 측은 본지 인터뷰 의뢰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강성덕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