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나노 분야 연구개발(R&D) 중복을 해소하고 지원체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전 주기적 나노 R&D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범정부적인 나노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부처별로 제각각 운영되던 나노 인프라 지원기관도 재편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나노융합 확산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미래부와 산자부는, 각각 나노원천기술 확보, 나노산업 육성을 각각 맡는 식으로 역할을 분담했지만, 연계성이 미흡하고 특정 분야는 중복돼 비효율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 두 부처는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사업을 재점검해 상호 연계를 꾀하고 중복성을 해소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오는 3월부터 기초·응용·상용화 전 단계에 걸친 `전 주기 나노 R&D 연계 협의체`를 구성, 공동 운영하고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내고도 사업화로 이어가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기로 했다.

또한 미래부가 5년 단위로 수립해온 나노 R&D로드맵 `국가 나노기술지도` 작성에 산업부가 동참하고, 산업부는 이를 산업기술 R&D 전략에 반영해 사업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오는 3월 나노인프라 공통·특화서비스 개편안을 마련해 5월부터 적용할 방침인데, 단위 공정, 소재 측정·분석 등은 공통 서비스로 가져가되 메모리칩·LED·전력반도체 등은 기관별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미래부와 산업부는 `나노융합확산 민관 협력위원회`를 구성해 분기별로 두 부처 협력 현황을 점검·확인하는데도 합의했드며, 이 같은 나노융합 협력에 힘입어 14~20%에 이르는 R&D 비용 절감과 2015년 이후 연간 200명 이상의 추가 고용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한기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