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자(弱者)가 세상을 살아가는 한 방식은 '더불어' 사는 거다. -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는 광주의 복지원에서 오랜 세월동안 같이 지낸 지체장애를 안고 있는 세하(신하균 분)와 지적 장애를 갖고 있는 동구(이광수 분) 두 형제의 실화를 바탕으로 가족이 무엇인지에 대해 우리의 마음을 콕하고 건드린 특별한 영화다.

장애를 가진 데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남남의 두 남자가 한 가족이 되어 세상을 살아가는 '가족愛'를 그린 영화로 각박하기만 한 이 시대에따뜻한 삶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나의 특별한 형제’는 한 줄로 요약한다면 '진정한 가족이란 무엇 인가?'다.

영화 속 주인공들은 비장애인들도 살아가는 동안 감내하기 힘든 여러 가지 일들을 서로의 몸과 머리가 돼 씨줄과 날줄처럼 하나 돼 서로의 필요와 도움이란 작지만 큰 울림소리가 우리의 내면 깊숙하게 꽁꽁 동여 매왔던 감사와 사랑의 향기가 한여름 바닷가에 비춰지는 별처럼 폴폴 쏟아져 내린다.

이 영화는 여느 영화처럼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삼아, 힘들고 어두운 면만을 부각시켜, 관객들에게 감성팔이로 억지로 눈물을 쥐어 짜내는 인공 조미료 같은 영화가 아니라 20여년을 한 몸처럼 살아온 지체 장애인 최승규씨와 지적 장애인 박종렬 씨의 실화에서 출발해 극화한 이야기로 대중들에게 더 쉽고 편안하게 다가온 이웃 같은 영화로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또 다른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장애인을 단순히 눈물샘을 자극하는 도구로 사용하기 보다는 과장되지 않은 선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며 현실의 문제를 넌지시 던져 보내기도 한다.

결국 이 영화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일반인)이 살아가는데 다를 게 없고, 살아가는 방식은 다른 모습이지만 삶의 방식은 같은 색감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여과 없이 스크린에서 보여줘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한층 더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해준다.

다음은 본 영화의 줄거리이다.

세하(신하균 분)는 아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릴 때 겪은 사고로 몸을 제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지체장애가 되자 챔임의 집이라는 시설에 맡겨진다.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한 그는 책임의 집 동기 동구(이광수 분)를 친형제처럼 여긴다.

다섯 살 아이의 지능에서 멈춘 지적장애인 동구는 몸을 움직이는 데 문제가 없지만 지적장애가 있다 보니 또래들이 괴롭히기 일쑤였는데 그런 동구를 세하가 몸을 던져 보호하자 그때부터 소위 '껌 딱지'처럼 붙어 다니며 20여 년간 마치 한 몸처럼 살아왔다.

두 ‘형제’는 책임의 집을 운영하는 박신부(권해효 분) 밑에서 행복하게 살아왔지만, 그가 세상을 떠나자 정부지원금도 끊기고 기부금도 없다보니 떨어져 살게 되는 운명에 처한다.  

세하는 어떻게든 시설을 계속 유지시키려고 안간힘을 쓰던 중 동구와 우연히 가게 된 수영장에서 사회인 수영대회 입상자들에게 상금이 생긴다는 데에 아이디어를 얻어 취업준비생 미현(이솜 분)을 수영코치로 영입해 시설을 계속 유지시키려고 안간힘을 쓰는 모습에서 두 형제는 자신들을 향한 선입견과 편견을 지우고 장애인이 비장애인으로부터 도움의 손길을 받는 연약한 존재가 아닌, 자립할 수 있는 인간임을 다시금 느끼게 해준다.

인간은 신이 아닌 약자로 태어나서 한평생 이 세상에서 살아간다. 특히 이 두 주인공처럼 장애를 안은 사람들은 강자처럼 혼자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간다.

왜냐고? 비록 약자에게 세상은 힘들지만 같이 있으면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약자들은 서로의 부족함과 약한 부분을 알기에 서로를 채워나가며 함께 할 수 있어서 실은 강자보다 더 강하다.

끝으로 박신부(권해효 분)가 “사람이 태어나면 끝까지 살아가야 할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에서 ‘책임의 집’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말 한 것처럼 ‘나의 특별한 형제’는 무책임하게 살아가는 우리에게 또 다른 특별한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김대은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