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지면 엉뚱한 결론이 나오게 마련'이다. -

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아베가 싼 배설물은 아베가 치워라.
답은 이미 정해져 있다. 아베가 싼 배설물은 아베가 치워라.

 

아베가 반도체 핵심소재 수출 규제를 선언한지 벌써 한 달하고도 열흘이 흘렀다.

아베정권의 경제도발에 국민여론은 들끓었고, 반일(反日)감정은 폭발했고, 이는 다시 불매운동으로 이어졌다.

이번 무역 보복전쟁의 배경으로 "신뢰관계가 무너졌다"는 아베의 핑계는 마치 이혼 부부들의 공통적인 사유가 "성격 차이 때문"이라는 것과 다름없는 변명에 불과 하다.

전쟁도발을 위해 일본의 평화헌법을 개정하겠다는 '아베의 침략야욕은 시간이 흐를수록 무뎌졌지만', '반일 감정의 칼끝은 더 예리해졌고', 그 칼끝은 아베 정권의 야욕을 정확하게 겨누고 있다.

한국을 희생양으로 삼아 동북아의 군사대국을 꿈꾸는 아베의 무모한 야심은 대한(對韓) 무역보복전쟁 도발을 일으킬때부터 무너졌다.

최소한 만병통치약은 아니더라도 문제를 풀어가는 절차와 기준 그리고 명분이 하나도 없다.

아베의 新군국주의로의 회귀(回歸)는 자국민(自國民)은 죽든 살든, 정치가 먼저지 민생경제는 후순위로 내팽게친 '선정후경(先政後經)'식의 무책임한 전략으로 일본 국민의 생활터전은 하루아침에 무너졌다.

일본으로 가는 하늘길·바닷길은 모두 막혀버렸다. 한국에서 일본 여행 거부 움직임이 커지자 일본행 항공 수요도 급감했고,지난달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해 일본을 오간 사람은 지난해보다 약 33% 줄어들었으며, 급기야는 대마도를 오가는 여객선 2척은 아예 운항을 중단되는 등 일본 현지 여행지와 관광업계의 피해는 말도 못할 정도로 눈덩이처럼 커졌다.

또한,국내에 들어와 있는 대표적인 일본의 저가브랜드인 유니클로를 비롯해, 자동차, 전자제품과 화장품등 생활용품은 불과 한달 여 사이에 매출이 반토막이날 정도로 매출이 급감했다
작년기준으로 일본을 찾은 한국인 여행객 753만명은 일본에서 약 5881억엔(약 6조 4394억원)을 소비했었다.

아베는 우리 민족의 저력을 얕봤다가 결국 큰 코를 다친 것이다.

우선, 쉬운 것부터 먼저하고 어려운 것은 나중에 한다는 우리 국민의 '선이후난(先易後難)'의 전략적 대처에 아베 정권은 허가 찔렸다.

국민들의 자발적인 일본산 불매운동, 기업의 수입처 다변화와 국내생산 확대 및 원천기술 도입 그리고 핵심소재 국산화 정부의 규제완화와 노동시간 유연성 등 전략적 대응과 일본에 대한 한국판 화이트리스트 재반격 극일(克日)전략을 차분하게 진행하고 있다.

물론 아베의 경제공습에 처음에는 한국도 당혹했고, 위정자들 사이에도 시시비비(是是非非)가 없지는 않았지만 정부의 일관된 대책과 정치권의 결의는 단호했고, 기업들의 대처는 발 빨랐으며, 시민들의 반응은 무서우리만큼 하나가 됐다.

외교는 힘과 혈기를 앞세운 주먹다짐과는 다르다.

협상을 통한 철저한 실리게임이 우선이다.

완전히 백기를 들어야만 끝나는 싸움으로 착각한 아베의 경제보복전쟁은 정작 패를 펼쳐 보면 아무런 실리도 없었고, 그저 자신의 야심만 앞세운 '뻥카'위협이 였다는 것을 이제는 전세계가 다 아는 사실이 됐다.

게임의 원칙은 간단하다. 쓸 수 있는 카드가 많아야 한다.

아베 정권은 대체로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지만 동시에 반(反)아베를 외치는 국민들에겐 엄청난 혐오를 받고 있다.

지난 달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이기긴 했지만, 개헌을 발의할 수 있는 과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문제는 투표율이 50%를 밑돌고 있어 '아무도 승리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손에 쥔 패가 부실하면 할수록 언성만 높아지고 퇴장을 당할 뿐이라는 사실을 아베는 알아야 한다.

 아베의 대한(對韓) 경제전쟁 도발로 인한 한·일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한·일 양국을 동맹국(同盟國)으로 두고 있는 미국의 역할론에 세계는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는 한·일 갈등과 관련해 "한·일 갈등은 미국을 곤란하게 한다"며 "서로 잘 지낼 필요가 한다"고 촉구했지만 한·일 갈등 중재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트럼프가 아직까지도 한·일 갈등 관련 중재에 침묵하고 있는 가운데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일본은 미국의 지지를 일찌감치 받아놓았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동아시아에서 일본, 호주, 인도를 엮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 전략'을 통해 중국과 맞서겠다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보니 과거 미국 정부만큼 '한‧미‧일 3각 협력'의 필요성이 약해진 것처럼 보인다.

또한,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는 대선 후보 시절부터 비용 등을 이유로 해외 주둔 미군 축소를 줄곧 주창해왔고, 방위비용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일본이 더 큰 역할을 해주기를 노골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군대를 보유하거나 전쟁을 할 수 있는 소위 '보통국가'를 지향하는 아베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런 기류에 적극 화답하고 있다.

물론 트럼프는 과거사 등 한일 간에 불거진 역사 문제에 대해선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모습이지만 한국전쟁의 종식은 트럼프가 재선을 위해서도 최대한 힘을 쏟는 이슈이기도 하다.

미국이 아베는 반항할 수 없다는 걸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만일 그의 재선가도에 일본이 방해가 된다면, 아베에게 매우 엄중한 태도를 취할 것이다.

답은 이미 정해져있다.

한일양국이 가야 할 길은 번영과 안정을 도모하는 길이다. 

지금 아베정권은 그 길로 가고 있는가?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지면 엉뚱한 결론이 나오게 마련'이다.

아베는 지금이라도 미국의 등에 올라타 동북아패권을 좌지우지 하려는 잔꾀를 버리고 자신이 싼 배설물을 깨끗이 치워야만 한다.

그 길만이 한일 양국의 미래도 동북아 질서의 안정과 세계평화도 지속 될 수 있다.

김대은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