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부정적 지표에 올해 경제성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

사진 = 지난해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민소득 기자설명회 모습
사진 = 지난해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민소득 기자설명회 모습 (뉴스1 제공)

[데일리그리드=김수빈 기자]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가 4년만에 4.1%감소 3만불을 유지했으나 여러 경제지표로 봤을때 하락폭이 가속화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 총소득은 3만2047달러로 1년 전보다 4.1% 감소했으며 이는 지난 2015년(-1.9%) 이후 4년만의 첫 감소다.

1인당 국민 소득은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지표로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돼 3만 달러를 기준으로 선진국 진입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것으로 인식돼 왔다.

지난해 국민총소득은 3만달러를 유지했으나 점차 하락폭이 커질 것으로 보이며 각종 경기 지표를 살펴봤을 때 올해 국민 총소득 3만 달러 유지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지난 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자료를 바탕으로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OECD국가들의 경제성장률-잠재성장률-국내 총샌산 갭률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5%(2001~2005년)에서 2.7%(2016~2019년)으로 빠르게 하락했다.

이 수치는 같은 기간 OECD국가 중 라트비아(5.1%), 리투아니아(4.1%), 에스토니아(3.3%), 그리스(2.7%) 다음으로 성장률 하락폭이 크다.

OECD 평균 성장률인 2.3% 대비 2.7% 이상 높은 성장을 기록해왔다고는 치지만 점차 격차가 줄어들고 그 속도가 여타의 OECD 국가와 대비해도 빠른 편인 것도 사실이다.

평균성장률 외에도 잠재성장률 수치 역시 부정적이다.

모든 생산요소를 최대한 활용,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성장치를 의미하는 잠재성장률은 지난 2001년 5.4%에 달했지만 지난해 2.7%로 18년 만에 절반 수준을 기록했다. 이 기간동안 우리나라보다 잠재성장률이 더 하락한 국가는 에스토니아(3.2%), 핀란드(1.7%), 라트비아(3.3%), 리투아니아(3.5%), 그리스(3%), 슬로바키아(2.4%), 스페인(2.4%) 총 7개국이다.

이와 관련 한경연 측은 "올해부터 시작되는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구절벽이 현실화되면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시화될 전망으로 하락세를 늦추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과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한 신산업 육성-고부가 서비스 창출로 역동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수빈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