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원칙과 소신

  노승석 이순신 전문연구가(증보교감완역 난중일기 저자)

  인격 수양에 도움이 되는 도덕성의 내적 기준이 인간 사랑이라면, 외적 기준은 행동 규범이라 할 수 있다. 생각이 아무리 올바를지라도 행동하는데 규범이 없다면 끝내 도덕을 실현하기 어려울 것이다. 때문에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을 원만히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외의 기준에 맞는 품격을 갖추어야 한다. 도덕심과 도덕행위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인격 완성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규범이란, 예(禮)로서 도덕과 법칙의 의미가 포함된 말이다. 이것이 또한 사회의 질서를 위한 규범이다.

  공자는 “예(禮)로써 단속하면, 도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하였다.『논어』「옹야」 항상 일정한 규범을 지키면 항상 올바른 품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황석공은 “예는 사람이 가야할 길이니, 밤낮으로 힘써 인륜의 질서를 이루어야 한다[禮者人之所履, 夙興夜寐, 以成人倫之序].”고 하였다(『소서』「원시」). 병가(兵家)에서도 규범은 기강을 바로잡는데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만큼 규범이 한 조직을 지휘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며, 조직 결속의 힘도 있는 것이다.

  이순신은 일상생활은 물론, 혼란스런 전쟁 중에도 항상 규범을 중시하였다. 본래 성격이 강직하여 자신만의 철저한 소신과 원칙으로 생활하였다. 공무에 임해서는 항상 공정하게 일을 처리하여 사적인 청탁이나 비리가 없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간혹 상관으로부터 명령을 거역했다는 이유로 미움을 받기도 했지만, 그렇다고 자신의 뜻을 굽혀가며 부당함을 눈감아 줄 순 없었다. 1579년 2월 인사업무를 관장하는 훈련원(訓鍊院) 봉사(奉事, 종8품)에 재직했을 때(35세) 병조정랑 서익(徐益)이 편법으로 친분이 있는 자를 훈련원 참군(參軍, 정7품)으로 승진시키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순신은 담당 관리로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아래에 있는 자를 등급을 뛰어넘어 올리면 응당히 승진할 사람이 승진하지 못할 것이니, 이는 공  정하지 못한 일이며, 또한 법규도 고칠 수 없는 일입니다.” -이분, 『충무공행록』 -

상관이 이순신에게 인사청탁을 하였으나 거절당한 것이다. 그러나 이 대담한 행동에 대해 그 당시 훈련원의 여러 아전들은 서로 놀라며, “병부랑이 훈련원의 하급 관원에게 굴복당한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이순신이 감히 본조(本曹)에 대항한 일은 앞길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고 우려하였다. 이 일로 인해 다음해 서익이 발포만호에 재직 중 이순신에게 시찰을 나와서 무기를 정비하지 않았다는 죄로 파직시켰다. 이에 대해 사람들은 이순신이 무기정비를 그처럼 엄정하게 잘했는데도 벌을 받은 것은 그전 훈련원에서 복종하지 않은 것에 대한 앙갚음을 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신은 전쟁 중 군대를 엄하게 다스리면서도 한 사람도 함부로 죽이는 일이 없었다. 이에 삼군(三軍, 전군) 중에는 감히 명령을 어기는 자가 없었다. 대범하게 운영하되 규정을 어긴 일이 한 번도 없었기에 부하들이 명령을 잘 따라 준 것이다. 아무리 권력을 믿고 강한체하는 자라도 이순신의 위풍당당한 모습만 보면 저절로 굽혔다. 부하들에게 벌과 상을 내릴 때는 절대 개인적인 관계를 개입시키지 않고 귀천(貴賤)과 친소(親疏) 관계를 따지지 않았다. 이러한 엄격하고 공정한 모습에 부하들은 항상 경외(敬畏)하였다.

 또한 앞 일을 예측하기 어려운 위기상황에 처할수록 더욱 근신하며 군법을 엄하게 적용하였다. 김육(金堉)은 “군대의 규율이 엄숙하여 군사들의 마음이 더욱 예리했다”고 하였다.「충무공신도비」 군법을 엄하게 한 것이 사기진작에 도움이 된 것이다. 제갈량은 “병사들이 잘 통제 되어 있으면 무능한 장수라도 패할 수 없고, 병사들이 잘 통제되어 있지 않으면 유능한 장수라도 이길 수 없다[有制之兵, 無能之將, 不可以敗. 無制之兵, 有能之將, 不可以勝].”고 하였다(「병요」). 이는 조직기강의 중요성을 말한 것으로, 군사들이 잘 통제되면 막강한 힘을 내어 적을 쉽게 물리칠 수 있는 것이다. 엄격한 규범에 의한 운영은 조직력 제고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 다만 여기에는 반드시 투명한 공정성과 합리성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먄 엄한 규정을 불평하지 않고 공감하며, 일의 성과에 모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순신의 리더십(여해, 노승석 2014) 인용참고.

노승석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