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모습 (뉴스1 제공)
사진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모습 (뉴스1 제공)

[데일리그리드=김수빈 기자] 지난해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상대적으로 중저가 가격상승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목적인 강남권 부동산 가격을 억제하는 것은 효과를 보고 있으나 자본이 강북 등 상대적으로 저렴한 곳으로 쏠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8일 한국감정원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9주간 하락하다 보합세로 전환했다. 

코로나19의 여파 등으로 부동산 거래가 크게 줄었던 1분기 상황을 봤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상승세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승세 흐름에 대해 감정원은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의 상승이 전체 아파트값을 올렸다"고 판단했다.

실제 상당수의 전문가들은 지난해 12.16 대책의 핵심은 주택 시장 규제를 선별적으로 강화하면서 LTV를 20%로 제한한 9억원이 넘는 주택들 대신 9억원 이하의 아파트는 LTV가 최대 50%가 적용돼 수요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실제 KB부동산이 최근 공개한 '6분위 아파트값' 조사 자료를 살펴보면 15억원 초과인 상위 20%의 가격은 4월 이후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반대로 올해 2월 9억원 이하(상위 40~60%)는 3.9%, 6억원 위하(상위 60~80%) 아파트 가격은 2.2% 상승했다.

나머지 하위 20%인 4억원 이하의 아파트 값은 지난 3월에 2.7%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으로 알려진 4대문 외각인 중랑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금천구, 은평구의 59㎡의 평균가격 역시 5억 초-중반대를 형성해 서울서 4억원 이하 아파트는 점차 찾아보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신혼부부나 30-40세대 역시 상대적으로 저렴한 (서울에서) 경기권으로의 이탈이 가속화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수빈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