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수출 14.4%·수입 14..1%...3년 만에 반등

사진=북한 평양 시내(뉴스1)
사진=북한 평양 시내(뉴스1)

지난해 남북교역을 제외한 북한 대외무역 규모가 직전 연도 대비 14.1% 증가한 32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016년 이후 3년 만에 반등했지만 UN제재 이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코트라(사장 권평오)가 발표한 ‘2019년도 북한 대외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수출은 직전년 대비 14.4% 증가한 2억8000달러, 수입은 직전년 대비 14.1% 증가한 29억7000만달러로 나타났다.

무역 적자는 2018년도 23억6000만달러에서 2019년도 26억000만달러로 14.1% 증가해 무역수지가 악화됐다.

최대 교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직전년 대비 13.6% 증가한 30억9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적자 역시 14.1% 증가한 26억600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전체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도 95.8%에서 2019년도 95.4%로 소폭 축소됐다.

중국에 이어 러시아, 베트남, 인도가 북한의 주요 교역국에 이름을 올렸으며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가 새롭게 10위권에 진입했다. 중국, 러시아를 제외한 10위권 국가가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 2017년에 채택된 UN결의안에서 대북교역 제재품목을 대폭 늘리면서 결의안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공업 제품이 2018년부터 북한의 주요 교역품목으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출품목은 시계 및 부분품(HS 91)으로 2018년 1533.7% 증가율을 기록한 데 이어 2019년에도 57.9% 증가세를 이어가며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또 가발이 포함된 조제우모·솜털 및 그 제품(HS 67) 수출은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40.9% 늘어나며 수출 3위를 기록했다. 

전시용 모형이 포함된 광학·의료기기·부품(HS 90)도 47.5% 증가율을 보이며 수출 5위 품목으로 급부상했다. 북한 현지 노동력을 활용한 임가공 제품이 광물성 연료를 대신해 북한 수출을 견인하는 모양새를 나타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입품목은 2018년과 같이 원유·정제유 등 광물유(HS 27)로, 3억5000만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의 11.7%를 차지했다. 이외 플라스틱 및 그 제품(HS 39), 인조필라멘트 섬유(HS 54), 동식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HS 15) 등 수입 상위품목은 직전년과 다르지 않으나, 식량부족 영향으로 곡물(HS 10) 수입이 직전년 대비 242% 증가세를 기록했다.

코트라는 “2019년 북한 대외교역은 중국 편중현상, 경공업 품목 위주 수출입 증가 등 전체적인 교역 틀이 직전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2018년 교역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해 전체 교역규모가 반등하기는 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5월까지 북한-중국 교역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봤을 때 2020년에는 교역 증가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윤정환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