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가격을 유지했던 휘발류 가격이 중동지역의 국지전 발발과 함께 최근 국제원유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우리사회 전반에 상당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국내외서 다양한 환경 규제들이 등장하면서 석유 등 화석에너지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더욱이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개발도상국의 수요 증가로 인해, 앞으로 고유가 상황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석유 수입량은 세계 4위로 연간 에너지 수입액이 1천억달라 달러를 넘겼지만 매년 에너지 수요는 급증한 증하고 있다.

또한 2013년 이후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감축의무 국가로 지정되어, 에너지 문제는 미래성장을 위한 핵심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큰 도시에서 에너지 소비를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급선무로 떠올랐다. 일부 지자체는 발빠르게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부족한 구석이 많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면 서울시에는 친환경에너지 선언을 통해 2020년까지 에너지 소비 15%, 온실가스 배출 25% 감축을 목표로 제시했지만, 향후의 고유가 상황을 고려할 때 좀 더 과감한 화석에너지 감축전략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도시들이 현재의 고유가 위기를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구조조정의 계기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인천대 김동인 교수는 우선 화석에너지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에너지 절약, 에너지 효율 증대, 대체 에너지 활용 등의 3가지 방향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런던과 도쿄 등 우리의 경쟁도시들은 이미 과감한 CO2 감축목표를 정하고 전략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서울, 부산 등 국내 대도시의 최종에너지 소비는 건물 분야에서 50%, 수송 분야에서 30%로 건물과 수송 부문에서 전체 소비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도시의 에너지 전략은 이 두 분야에 집중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에너지 저소비형 도시기반 구축을 목표로 건물 분야에서는 에너지 저소비형 건물 확대, 교통 분야에서는 에너지 절약형 그린모드로 전환,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확대 등에 전방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교수는 “우선 건물 부문에서는 탄소 마일리지제 도입, 패시브하우스 보급, 아파트단지나 개별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총량제 시행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교통 분야에서는 승용차 통행공간의 그린모드로의 전환을 통해, 승용차 통행공간을 줄이고 자전거 전용도로를 일반도로와 연결하여 자전거 도로망을 구축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하천수와 하수열을 활용한 냉난방,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가로등 설치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사업을 진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재원 마련에도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화석에너지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조~수십조원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만큼, 소요재원 마련에 힘써야 한다”며 “우선 세출예산 조정과 환경개선부담금·혼잡통행료 확대시행을 통해 마련하고, 중앙정부의 국고보조금 지원과 함께 민간투자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