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 공동구매제도 시행에도 대형브랜드 점유율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교복 공동구매제도 시행에도 대형브랜드 점유율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스1]

[데일리그리드=이준호 기자] 2015년 교복 공동구매제도 시행 이후 대형브랜드 점유율이 2배 가까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주당 의원이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으로부터 받은 2015~2019년 학교주관구매제도 시행 이후 전국 교복시장 점유율 추이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엘리트·스쿨룩스·아이비클럽 등 4대 교복 대형브랜드 점유율이 2015년 33.3%에서 2019년 66%로 거의 두 배 가까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교육청의 경우, 2018년 37%에서 2020년 76%로 쏠림현상이 심화됐으며, 경기도교육청도 2018년 57%에서 2020년 74%로 대형교복업체 점유율이 증가했다.  

이러한 쏠림현상 심화는 각 학교 교복선정위원회가 1개의 교복업체만 선정한 후 학생들에게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강 의원은 "4대 메이저 교복업체들 중심으로 선정되는 것은 중소 교복업체에 비해 자금력이나 협상력에서 앞서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복은 직접 당사자인 학생들의 선택권도 중요한 문제지만 교복 선정과정에 학생들의 선택권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며 "이런 쏠림현상이 심화되면 차라리 공동구매가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가 자유롭게 개별적으로 교복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안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하나의 대안으로 추진되고 있는 블라인드 테스트가 편법없이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각 교육청은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준호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