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는 KT-KTF 합병은 소비자들의 선택권과 편의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합병 추진에 대해 적극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 회사는 KT-KTF 특히 KT-KTF 합병은 후발 유선통신업체들의 고사(枯死)를 초래, 지난 97년 유선시장의 경쟁체제 도입 이후 불과 10여년 만에 또다시 ‘KT 독점시대’를 여는 그야말로 ‘역사의 수레바퀴를 되돌리는 행위’라고 밝혔다.

또한 KT는 현재 유무선 통신업체 중 유일하게 통신서비스 인프라 구축 시 꼭 필요한 전주, 통신케이블 관로, 광케이블 등을 독점하고 있어 후발 통신업체들이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후발업체인 SK브로드밴드의 경우 대략 10년간 5조원 이상의 누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KT 대비 통신 인프라 확보 수준은 인/수공 4.8%, 통신케이블 관로 3.0%, 광케이블 11.7% 불과한 실정”이라며 “국영기업으로 출발해 지난 2002년 민영화되기 전까지 100여년에 걸쳐 구축한 KT의 통신인프라가 후발업체에 비해 절대적 우위에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 세금으로 구축된 통신인프라를 KT 독점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브로드밴드는 “형식적으로는 시설을 임대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실효성이 전혀 없는 상태”라며 “이에 따라 후발사업자는 아무리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더라도 KT 수준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한 후발사업자들의 사업 환경은 ‘택시업체가 새로 도로를 깔아가면서 사업을 해야 하는 상황’과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미 두루넷을 포함한 많은 유선사업자들이 정부의 경쟁체제 도입으로 통신서비스 사업을 시작했지만 KT와의 이 같은 근본적 격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법정관리를 겪거나 피인수되는 등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는 것.

유선시장의 2위 사업자인 SK브로드밴드 또한 이러한 통신시장의 고착화된 차별적 경쟁구도로 1999년 서비스 제공 이후 여전히 적자경영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음이 이런 사실을 반증한다는 설명.

브로드밴드는 또한 유선 독점적 사업자인 KT와 무선 2위 사업자 KTF의 합병(2007년말 기준 전체 통신시장 전체 가입자의 51.3%, 매출액의 46.5% 차지)은 국내 통신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경쟁제한적인 형태로 향후 통신산업 발전 및 소비자 편의성 증진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했다.

양사 합병에 따른 시장 지배력은 유무선 통신시장은 물론 IPTV, 인터넷전화 등 컨버전스 시장으로까지 확산, 고착화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야기될 시장에서의 독점적인 지위는 투자 노력 감퇴 및 요금인하 여력을 소진시켜 궁극적으로 이용자 후생에도 역행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브로드밴드는 이번 합병을 반대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데일리그리드>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