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원 거래시장 활성화 위해 문턱 낮춰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비롯해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된 전력, 소비절약을 통해 아낀 전기 등의 시장거래가 쉬워지고, 제철소 등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로 생산한 전력도 장외시장을 통해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게 된다.

전기차 배터리 전기도 팔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에 따르면 전기차가 전기충전을 하기만 하는데서 더 나아가 전기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한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됐으며, 이를 위한 전기차 전력의 전력망 역 송전(V2G-Vehicle To Grid)시범사업을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야간에 전기차 사용자가 값싼 전기요금으로 충전한 전력을 주간 최고조 타임인 피크 시간대에 비싼 가격으로 되파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10KW이하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한전으로부터 받은 전력량에서 자신이 한전에서 역 송전한 전력량을 계산해 순 사용분에 대해서만 전력요금을 내는 것도 허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소규모 신 재생에너지 발전전력 등의 거래에 관한 지침’을 개정해 전기차 배터리 충전전력을 거래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했다.
그러나 아직은 전기차 배터리의 전력을 송전망에 송전하기 위해서는 전기차 탑재형 충전기와 양방향 완송 충전시스템, V2G표준 등 관련 기술이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등 풀어야할 과제도 산적해 있는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산업부는 전기차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피크 시간대에 한전 배전망에 공급해 거래하거나 또는 자가소비용으로 활용해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기술개발과 실제 절감효과를 분석하는 V2G 실증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는 한전을 비롯해 현대 기아차, 서울대, 광주 과기원 등과 공동으로 광주과기원에 V2G용 테스트 베드 즉, 가늠터를 지난 1월 말에 설치한 것에 이어, 지난달 서울대에서도 V2G 가늠터를 구축 운영하고, 관련 전력거래 제도, 요금제 등을 검토해 V2G용 전기차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추진하기로 했다.
그동안 전기차는 단순히 전력을 소비하는 제품으로만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분산형 발전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V2G사업은 지난해 9월 개최된 ‘에너지 신산업 토론회’에서도 논의된 바 있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에도 전기차 충전 전력을 주파수 조절용으로 활용하거나, 상계제도(Net Metering)로 운영, 또는 일본 닛산의 리프처럼 비상용 전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전력의 전력망 접근을 확대함으로써 에너지 신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고 있다.

 

저장한 전기 판매도 가능
에너지 저장장치(ESS)가 발전소로 인정되고, 에너지 저장장치로 불리는 배터리에 충전한 전력을 시장에 팔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된다.
산업부는 전기 저장뿐만 아니라 공급도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에너지 저장장치를 발전설비로 인정하고 저장한 전력은 한전과 계약을 통해 직접 판매하거나 전기요금에서 상계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했다.
또한, 투자회수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에 충전할 때 사용하는 전력요금을 할인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맞춤형 요금제를 시행했다. 구체적으로 여름의 경우 저녁 11시부터 아침 9시까지인 경부하시간대에 에너지 저장장치에 충전하게 되면, 10% 할인된 저렴한 요금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아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소규모 신 재생에너지 발전전력 등의 거래에 관한 지침’과 요금 제도를 개정해서 시행한다.

수요자원 거래시장 활성화
전기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아낀 전기를 전력수요 관리사업자를 통해 시장에 내다 파는 수요자원 거래시장(Demand Resource)은 입찰 문턱을 낮춰,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하고 시장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지난달부터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입찰가격 하한선을 하향조정하여 수요관리자원이 낙찰 받을 수 있는 시간을 늘렸다. 제도개선 이전인 지난달의 경우, 전력시장에서 결정되는 계통한계가격(SMP-System Marginal Price)이 127원/KWh 이상인 경우에만 수요자원이 낙찰될 수 있었으나, 제도개선을 통해 5원이 낮아진 122원/KWh 이상인 경우에도 낙찰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입찰해야하는 최소 수요자원 개수에 대한 규제도 완화함으로써 수요관리사업자의 부담도 경감된다. 현재는 전력수요 관리사업자가 보유한 수요관리자원을 10개 이상의 수요자원으로 구성된 패키지만이 시장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오는 6월 1일부터는 동일 패키지에서 일부 수요자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수요자원만으로도 입찰이 가능하다.

 
부생가스를 이용해 발전한 전기도 판매
제철소 등 공정에서 나오는 부생가스를 활용하여 발전하는 부생가스 발전에 대해서 전력거래소가 개설하는 시장에서 현물 거래를 하는 방식이 아니라 연간 계약을 통해 안정적으로 구입해주는 차액계약 방식으로 구매하기로 했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달 12일 한전 등 전력시장에서의 전력구매자와 포스코에너지(주), 현대그린파워(주)가 각각 체결한 ‘부생가스발전 정부승인 차액계약’ 두 건에 대해서 인가를 마친 상태이다.
이번에 정부가 승인한 부생가스발전에 대한 차액계약은 2001년 전력시장이 처음 개설된 이후 지금까지 경제급전 방식의 현물거래만 허용하던 것에서 벗어나, 최초로 전력구매자와 발전사가 체결한 장기 공급계약을 통한 거래를 허용한 것이다.
차액계약은 전력시장에서의 사전 약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여 시장변동성에 따른 재무위험을 완화하고, 발전사의 비용절감과 효율향상 목표 달성에 따른 성과보상이 가능하게 된다. 정부는 시장가격을 안정화하고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액계약을 수력발전과 석탄발전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전력시장에 있어서 에너지산업 사업자의 공정한 시장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에너지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이 분야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앞으로 전기차 충전전력을 비롯해 에너지 저장장치 전력 등 신에너지의 시장 접근 확대, 수요자원의 발전자원과 동등한 취급, 단기 일일 현물시장위주에서 거래방식을 벗어나 장기 계약시장의 확대 등을 통해 전력시장을 선진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될 경우 현물시장에만 의존하던 국내 전력시장은 발전자원과 수요자원, 단기와 장기시장 등을 통해 신에너지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선진적인 전력시장으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이다.
 

지재호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