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늘었다는데

최근 서울 강남권 소형아파트 3.3㎡당 전세가격이 대형 아파트 전세가격을 추월하였다.

부동산 정보업체에서 작년 말 기준 서울 강남 3구의 전세가격을 조사했더니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전세가격이 3.3㎡당 1798만원으로 전용면적 85㎡ 초과 대형 아파트의 3.3㎡당 1793만원을 넘었다.

매매가격에서도 소형아파트 강세가 당연히 두드러지는데 소형과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 차이는 9년 새 59.4%(2006년 772만원, 2015년 313만원)가까이 통계가 아닌 실제 대부분 주거지역에서는 이미 소형이 중대형을 역전한지 오래되었다.

이런 소형의 강세에 힘입어 작년 소형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대형아파트 상승률의 5배를 기록하였고 신규분양단지의 분양가 역시 3.3㎡당 20-30만원에서 1-2백만 원까지 소형이 더 높게 책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약경쟁률이나 계약률이 높은 것은 이미 소형강세가 큰 흐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소형강세 흐름과 원인은?
10년 전만 하더라도 천덕꾸러기였던 소형이 이렇게 강세가 된 이유는 재건축, 재개발 사업으로 기존 오래된 소형주택의 철거는 늘어나고 IMF 이후 국민주택 규모인 전용면적 85㎡ 중형주택 위주로 공급정책과 2000년대 중반 이후 중대형의 인기로 인하여 중대형 물량은 늘어났지만 소형 물량을 크게 줄이면서 공급은 줄어든 반면, 실수요자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재편되었고 1-2인 가구의 증가, 인구 고령화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저금리로 인한 임대수요 증가 등 복합적으로 소형주택 수요는 크게 늘어나면서 공급부족, 수요증가의 전형적인 강세가 형성되었고 결국 현재와 같은 소형주택 전세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대로 중대형은 끝나는 것인가?

이런 소형주택 선호 속에서 중대형 아파트의 거래가 조금 늘어났다고 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만9695가구로 이 중 전용면적 41~60㎡의 거래 비중은 36.3%(1만2218가구)로 전년 동월(37.6%)보다 1.3%포인트 줄어든 반면 전용면적 101~135㎡ 규모의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9.9%에서 11.3%로 1.4%포인트 늘어났으며 서울 아파트의 매매거래량 역시 전용면적 41~60㎡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32.9%에서 28.5%로 4.4%포인트 감소된 반면 전용면적 101~135㎡는 11.8%에서 14.3%로 2.5% 증가하였다.

이런 현상은 최근 소형 아파트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중대형과 가격차이가 많이 줄어들었고 저금리로 이자부담이 줄어들면서 비교적 부담스럽지 않은 금액으로 보다 넓은 주거공간을 원하는 실 수요자들이 움직인 것으로 한마디로 어차피 무리하는데 돈 조금 더 보태서 편하게 살 수 있는 큰 집을 사자는 심리가 작용했다.

하지만 불안한 경제상황 속에서 유지비가 높고 상승 기대감이 낮은 대형주택은 실수요자 위주로 움직일 가능성이 큰 반면 부담이 적고 1-2인 가구와 임대수요 등 두터운 수요층을 가진 소형주택이 당분간 주택시장 트랜드를 이끌어 갈 것 같다.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