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매년 100억원 이상, 10년간 1000억원 규모 자금을 투입해 슈퍼컴퓨터의 원천기술 확보와 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 사업으로 집중 육성한다. 그러나 관련 시장을 이미 IBM이나 구글 등이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성공가능한지에 대한 회의론이 벌써부터 고개를 들고 있어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슈퍼컴퓨터 개발을 위해 대한민국 최고의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초고성능컴퓨팅(HPC) 사업단(법인)’을 설립하고, 사업단에는 매년 100억원 내외, 향후 10년간 1000억원 규모 연구 개발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고성능컴퓨팅(High-Performance Computing) 기술은 보통의 컴퓨터로는 풀기 어려운 대용량의 정보를 초고속으로 저장·처리·활용하게 하는 컴퓨팅 기술로, 최근엔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사업단은 이달부터 공모를 통해 선정하며, 국내외 개발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다양한 개발 주체(산학연) 간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할 계획이다.

슈퍼컴퓨터 개발계획은 지난해 7월 출범한 초고성능 컴퓨팅 발전 포럼이 공청회 등을 통해 정부에 제안한 내용을 토대로 마련됐다. 단계적 개발, 개발역량 결집, 연구개발 지속투자, 기술혁신기업 성장 지원 등이 골자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지는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초고성능컴퓨팅 시장의 90% 이상을 글로벌 기업이 독점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R&D 투자 및 기술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구글과 같은 해외 기업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도 상대적으로 적은 문제도 있다.

이번 사업은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슈퍼컴퓨터 개발 프로젝트다. 단순한 슈퍼컴퓨터 개발뿐만 아니라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가 가능한 최상급 인력의 양성, 기업과의 공동 연구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한 산업계의 전반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게 목적이다.

정부는 우선 기존 슈퍼컴퓨터 개발경험과 공공부문의 슈퍼컴퓨터 실수요 등을 고려해 오는 2020년까지 1PF 이상 슈퍼컴을 개발하고, 오는 2025년 까지 30PF 이상 규모의 슈퍼컴 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에서는 특정 산·학·연이 독자적으로 슈퍼컴퓨터 개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 개발 주체간 분산된 기술·노하우 등을 효과적으로 결집하기 위해 일원화된 개발 조직인 ‘초고성능컴퓨팅 사업단’을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슈퍼컴 분야의 안정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매년 100억원 이상을 지속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운영체제, 시스템 진단·복구기술 등 시스템SW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응용 SW 개발 및 인력양성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출연연은 HW 개발 테스트베드 제공 및 H/W 설계·제작 지원을 수행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슈퍼컴 개발 컴포넌트(스토리지, 운영체제, 보드제작 등)별로 중소기업의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인지도를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최한기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