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승용차 소유와 이용 특성을 고려한 교통수요 관리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심의 승용차 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혼잡비용, 환경비용 등의 사회적 비용이 지자체 마다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대두됐다.

자지체들은 승용차 소유・이용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교통수요 관리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좀 더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민의 승용차 소유・이용 특성을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맞춤형 교통수요 관리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승용차 소유자의 20%는 세컨드카 소유하지만 이용률 낮아=승용차 소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소득수준이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세컨드카(second-car)의 보유비율도 높고, 대형 및 외국산 차량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승용차를 소유한 서울시민의 평균 보유대수는 가구당 1.21대이며, 승용차 소유자의 20% 정도는 주중과 주말에도 승용차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차량구입에 따른 24.8만 원의 고정비용만 지출하고 있는 셈이다.

생활・레저형 통행은 승용차 의존도 높아=승용차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직업과 통행목적이다. 자영업자, 사무・관리직, 전문직은 평균보다 많은 통행횟수를 보이며, 특히 자영업자는 평균보다 주중에 1.7배, 주말에는 1.3배 정도가 많았다.

통근・통학이나 업무가 목적인 업무형 통행자는 생활・레저형 통행자보다 통행횟수가 많았으며, 특히 주중에는 평균보다 1.2배 많은 통행횟수를 나타냈다. 한편 생활・레저 목적의 통행은 업무형 통행보다 통행횟수는 적지만 승용차 의존도는 더 높았다.

승용차 이용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교통수요 관리정책 필요=많은 통행횟수를 보이는 통근・통학 통행과 업무 통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의 서비스를 개선, 업무택시의 활용성 제고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통근・통학 통행의 승용차 이용 억제를 위해 버스의 간선급행버스(BRT) 노선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혼잡도 완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업무형 통행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업무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도심과 부도심을 직결하는 교통수단을 제공해야 한다"며 "업무택시의 활용성 제고도 업무통행을 흡수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승용차 의존도가 높은 생활・레저형 승용차 통행을 대체하기 위해서 이용목적이 중첩되는 나눔카의 보급을 확대하고, 쇼핑몰 등의 시설에 부과하는 교통유발 부담금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지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