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금융사, 협회 등에 갑질을 하면서 향응도 모자라, 이제는 피감기관의 여직원을 성폭행하는 사태까지 이르는 등 심각한 조직 병폐가 드러났다. 이번 사고를 금융위의 개혁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최근 일어난 금융위의 금융소비자과 사무관의 저축은행중앙회 여직원 성폭행 사건은 금융위 내부 직원들의 근무 분위기나 직원 관리 등 조직의 총체적 문제점을 드러낸 일부 사례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금융위가 본질보다는 처세술과 자리에 연연하는 등 이런 문화가 조직에 만연되다 보니 갑질, 향응, 성폭행까지 저지를 지경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금융위는 수사가 본격화되자 조직의 명예와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종로경찰서를 상대로 조용한 사건 처리를 요청하는 등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  기자들을 상대로는 ‘가해자와 피해자는 연인 관계였다’라는 상식 밖의 언론대응을 하며 2차 피해를 야기했다.

금소원은 최근 자료를 통해 “금융위가 금융개혁, 핀테크, 인터넷은행 등 그럴 듯한 테마를 내걸고 일하는 모양새만 보이면서, 본질적으로는 권력의 심부름에 열중하고 개인적 영달과 자신들의 일자리 챙기기 등에만 노력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진정한 관치 금융 해소나, 낙하산 인사 문제 등의 금융산업의 근본적 문제는 도외시한 추악한 금융당국이 되어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번 사건만 보더라도, 성폭행 사건을 덮어보려고 조직적 은폐하려는 모습은 지금까지의 금융위가 해 온 행태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조직이 과연 금융산업을 책임진 정부 부처의 모습인가를 새삼 의문이 들게한다.

현재 임종룡 위원장은 ‘영화표 팔이’로 검찰에 고발당하고, 정은보 부위원장은 선거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는 상태다. 또한 국장, 과장은 직권남용 등으로 고발당했고 사무관은 성폭행으로 구속되어 비판받고 있는 신세다.  

금융위의 잘못된 대응으로 2차 피해를 줬다는 점에서 진실규명이 필요하다. 사건 인지 이후 대응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해 관련자에 대해 엄중히 문책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건을 계기로 조직문화를 쇄신하고 금융위의 역할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새로 태어나야 할 것이다.

장영신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