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사랑

   쑥이 삼대 속에 나면 붙잡아 주지 않아도 곧게 자란다고 한다. 이것이 곧 봉생마중(蓬生麻中)이라는 고사인데,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특히 주변 환경에 쉽게 반응하는 감수성이 민감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말이다. 이때는 일생을 좌우하는 성격과 생각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인간에게는 항상 올바른 조기교육이 필요하다고 한다. 한번 길들여진 습관은 그것이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평생을 간다. 그러한 중에 좋은 생활습관은 지혜로운 사고를 만들고 감화교육은 인성을 형성해주는 이점이 있다. 이 점에서 인간은 좋은 환경 속에서 얻은 산물을 삶의 밑거름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이 이른바 향기로 물들이고 그릇을 단련한다는 훈도(薰陶)이다. 감화교육의 중요성을 담고 있는 상징적인 말이다.

  역사적인 인물들은 대부분 어려서부터 가정교육에 충실했다. 어느 날 공자(孔子)의 아들 백어(伯魚)는 뜰에서 부친에게《시경》과《예기》를 배워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열심히 공부를 하였다. 이것이 가정교육을 의미하는 정훈(庭訓)이다. 자식이 가정의 일상에서 부모로부터 받는 교육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이순신은 자신을 훈육해준 어머니 초계변씨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변씨는 이순신을 임신했을 때 꿈속에서 조부가 순신(舜臣)이라고 이름을 지으라고 한 대로 실제 그와 같이 지었다. 꿈속이나마 조부의 분부를 따른 변씨의 효행도 남다르다. 중국의 대표적인 성왕인 순(舜) 임금의 이름자를 따라 쓴 것만 봐도 유교(儒敎)의 가풍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순신은 어려서부터 유학을 독실하게 배우게 되었다.

  이순신은 전쟁 중에도 항시 어머니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다. 조카나 아들, 부하들을 사자(使者)로 대신 보내어 어머님께 문후를 드리게 한 정성은 그의 위인다운 모습을 가늠하게 해준다. 우리에게 어머니라는 존재는 예로부터 기쁨과 망우(忘憂)를 상징하는 훤당(萱堂)이라는 말로 일컬어져왔다. 그래서 선비집 뜨락에는 망우초라고 하는 원추리를 늘 심었던 것이다.

  이순신이 자신을 분골쇄신할지라도 국난극복에 대한 염원을 잠시도 멈추지 않았던 것은 바로 어머니의 영향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갑오년 1월 12일 어머니께 하직을 아뢰자, “부디 잘 가거라. 오직 나라의 치욕을 크게 씻어야 한다.”고 하며 조금도 이별을 슬퍼하지 않는 어머니의 당당한 모습이 항상 간절하게 느껴졌다. 바로 어머님의 당부말씀을 따르는 것이 나라에 충성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최선을 다할 수 있었다.

  오늘날 패륜적인 범죄가 급증하는 사회현실에서 문제가 되는 요인을 짚어봐야 한다. 21세기의 젊은이들은 미래를 이끌어 가야할 기둥들이다. 그러나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인격체의 기준이 무엇인지부터 올바로 알려주어야 한다. 그것에 대한 해답은 바로 우리에게 가깝고 친근한 가정에 있다. 중국 촉한시대 정치가 제갈량은 “사랑은 부모사랑에서부터 시작한다.[立愛自親始]”고 하였다. 부모에 대한 사랑을 모른다면 어떠한 조직에서도 원만한 생활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바로, 부모사랑 속에 순응, 화합, 감화의 원리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글 : 증보교감완역 난중일기 저자

노승석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