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별 M&A 계획 유출 비율

2015년 M&A 정보가 유출된 타깃 기업들은 유출되지 않은 기업보다 훨씬 높은 인수 프리미엄을 받았다. 유출된 기업의 인수프리미엄은 53%로, 그렇지 않은 기업의 24%와 비교하여 거의 30% 포인트가 높았으며, 이는 최근 4년 사이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인트라링크스에 따르면 유출로 인해 경쟁입찰 비율도 높아졌다. 2015년 유출된 딜 중 6.4%는 입찰 참여 기업이 2개 이상이었던 반면, 유출되지 않은 딜의 참여 기업이 2개 이상이었던 비율은 4.4%이다. 이는 정보가 유출 될 경우 더 큰 인수 프리미엄을 받게 되는 배경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2015년에 딜 계획 유출이 2014년에 비해 증가했다. 전체 M&A 딜 중 8.6%가 공식발표 전에 정보가 유출됐으며, 이는 6%였던 2014년과 지난 7년간의 평균인 7.5%에 비해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현상은 인트라링크스가 가장 최근에 발행한 연간 M&A 딜 유출 보고서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추세와 반대되는 현상이다. 2014년 딜 계획 유출 비율은 6년내 최저치인 6%로 떨어졌었다. 그렇다면 2015년에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전 세계 규제 기관들이 딜 유출을 포함한 시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함에 따라, 최근 관련 규제 및 제재가 늘어나고 있다. 2014년과 2015년에 걸쳐,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금융산업규제기구(FINRA) 그리고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시행한 금융규제 집행 횟수(M&A 정보유출 포함)는 각각 58%, 8%, 7% 증가했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와 증권거래위원회, 그리고 홍콩 증권선물거래위원회가 부과한 재정적 벌금 총액 역시 2014 년과 비교해 증가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영국 금융규제원(FCA)의 2015년 금융규제 집행 건수는 2014 년과 동일했으며, 재정적 벌금은 2014 년에 비해 38 % 감소했다.

인트라링크스의 전략 마케팅 부사장, 필립 휘첼로(Philip Whitchelo)는 “전 세계 금융당국은 시장의 남용을 막기 위한 새로운 규정을 만들거나, 부정행위 처벌을 강화하는 등 합법적인 규제를 강화 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이 M&A 정보유출을 막지 못한다는 것을 우리는 데이터로 확인했다.” 라고 말했다.

이어 "이에 대한 한가지 해석은 금융 규제 및 제재가 정보유출을 막을 만큼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딜 유출로 인한 잠재적인 혜택이 유출로 인한 리스크를 능가한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감사 및 규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쟁 입찰 조장과 인수 프리미엄 기준을 높이는 등의 딜 유출로 인한 혜택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라고 덧붙였다.

카스 비즈니스 스쿨의 M&A 리서치 센터 소장, 스캇 몰러 교수는, "M&A 정보유출은 혜택이 존재하지만, 이로 인한 위험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유럽 금융당국이 규제 집행을 촉구하고 시장 남용 방지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추후 딜 유출로 인해 기업들은 규제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 기업의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딜 유출 증가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정보 유출이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한다." 라고 말했다.

김선식 인트라링크스 서울 사무소 대표는 “2015년 한국의 M&A 딜 계획 유출 비율은 2014년에 비해 2배 가까이 상승하였는데 이는 단기적 딜 클로징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시장 질서 교란에 따른 투자자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자 미공개정보 이용에 대한 처벌 강화 등 강력한 규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임영규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