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의 조사·평가 결과 후속조치로 추진한 ‘4대강 수자원 활용 개선방안’의 연구용역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에서 4대강 사업을 평가한 결과 미래 물 부족량과 본류 주요지점의 하천유지유량 부족을 고려한 수자원 확보량은 적절했으나, 과거 최대 가뭄 발생 시 용수부족 지역과 4대강사업으로 가용수량이 늘어난 지역이 다르므로 효과적인 가뭄대응을 위해서는 용수공급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이러한 조사평가위원회의 결과를 반영해 물 활용의 공간적 범위를 확대하고 가뭄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류 이외의 가뭄지역 또는 용수공급이 필요한 지역에 4대강 사업으로 확보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확보된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급 가능량과 수요처를 분석해 생활·공업·농업·유지용수 등 용도별로 활용계획을 제시했다.

먼저 4대강 사업을 통해 하천의 수위가 상승했고 둑높임 저수지에서 하천 유지유량을 방류함으로써 물의 흐름이 개선돼 가뭄 시 반복되던 기존시설의 취수난이 해소되는 등 전반적으로 본류 인근의 물공급 안정성이 증가됐다.

다만, 본류 이외의 가뭄발생 지역 등에도 확보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용수공급시설을 설치해 물 활용의 공간적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의 용수 공급가능량은 관리수위(고정보 상단의 수위)에서 지하수 제약수위 사이에 저류돼 있는 물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지하수 제약수위는 보에 확보돼 있는 물을 활용하게 돼 보의 수위가 저하되더라도 인근 지하수 관정에서 지하수를 양수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보의 수위를 말한다.

공급기준은 가뭄 정도에 따라서 상시공급과 비상시공급으로 구분했다. 상시공급 가능량은 20년 빈도 이하의 가뭄에 상시로 공급할 수 있는 양을, 비상시공급 가능량은 20년 빈도 이상의 가뭄인 비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신규댐은 실시계획에 반영돼 있는 양을, 둑높임 저수지는 저수지 운영·관리 기준을 반영해 공급가능량을 분석했다.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4대강사업으로 확보된 수자원은 11먹 7000만㎥(저수량 기준)으로, 상시공급 가능량은 6억 2000㎥, 비상시공급 가능량은 5억 5000㎥이다.

모의 실험 결과 상시 공급 할 수 있는 양 6억 2000㎥은 시설운영을 통해 연간 9억㎥/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상시공급할 수 있는 양은 보의 지하수 제약수위 아래의 저수량(3억 9000㎥)과 하굿둑 준설(1억 6000㎥)로 확보된 5억 5000㎥이다.

수요량은 과거 가뭄피해지역과 기관별 장래 물 사용계획 등을 검토한 결과 연간 8억 6000㎥/년으로 조사됐다. 시설물별 수요를 보면 보 용수 수요는 보령댐 도수로, 농촌용수 공급사업, 다목적 용수공급사업(지자체) 등으로 연간 4억 2000㎥/년이다.

또한 영주댐, 보현산댐, 안동댐~임하댐 연결 등 신규댐의 용수수요는 실시계획에 반영돼 있는 생활·공업·농업용수, 하천유지유량 등으로 연간 2억 4000㎥/년, 둑 높임 저수지 수요는 하류의 하천유지유량으로 연간 2억㎥/년이다.

공급가능량과 수요량을 분석한 결과, 상시공급 가능량이 연간 9억㎥/년이다. 이를 활용해 수요처에 연간 8억㎥/년을 공급하고 잔여량 1억㎥/년은 예비수원으로 수질개선 및 장래 용수수요 등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효과를 보면 본류 이외 지역에 용수공급시설을 설치해 보의 물 공급이 가능해져 원거리 지역 가뭄에 대응(본류에서 최대 30km) 할 수 있는 등 물 활용의 공간적 범위가 확대돼 가뭄대응 능력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류의 물을 지류에 공급하는 연결점(허브)을 구축해 지류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지류 하천유지유량과 수질개선에 활용하고 가뭄 시에는 지류의 물공급 망을 통해 다목적 용수로 활용 가능하다. 이렇게 활용된 물은 다시 본류로 회귀돼 물순환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2009년 수립한 4대강 마스터플랜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확보된 물을 하천유지용수와 가뭄시 비상용수 등 제한적으로만 활용하는 계획을 수립했으나,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확보된 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급 가능량과 수요처를 분석해 생활·공업·농업·유지용수 등 용도별 활용계획을 제시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에서 제시된 수자원 활용 개선방안은 기관별 계획을 반영해 기본방향을 제시한 것”이라며 “실제 용수공급은 기관별 사업 추진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용수활용을 위한 공급시설 등이 완비됨에 따라 공간적으로 물 활용의 범위가 본류에서 떨어진 지역까지 확대돼 물 공급의 안정성 및 가뭄대응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박수경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