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GMO가 가진 산업성과 미래 가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인류가 맞이한 각종 자연재해와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데 있어 GMO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GMO는 유전자 변형 기술을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지 않은 형질이나 유전자를 지니도록 개발된 유전자변형식품(농산물)을 말한다. 즉,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작물들보다 병충해, 이상 기온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면역력이 강한 농산물을 개발해낼 수 있다.

그러나 GMO의 개발과 사용이 모두에게 환영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국민은 유전자변형기술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에 직접 사용된다는 점에  때문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GMO가 인체에 유해하거나 그 어떤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는 없으며, 노벨상 수상자들을 비롯해 국제기구, 학회 등에서도 GMO의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다.

또한, 일부의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도입한 제도가 바로 ‘GMO 표시제’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일본, 미국 등지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1년에 GMO 의무표시제를 도입한 이후 최근 더욱 확대되어 시행 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GMO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여전하며, 동시에 ‘알 권리 충족’ 차원에서 GMO 완전표시제 시행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식품업계 및 관련 전문가들은,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자 GMO 완전표시제를 시행한다면, 생산비용 상승에 따라 연쇄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점과 수입식품에는 완전표시가 어려움 점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국내 식품 업체들은 안전성과는 무관한 소비자 여론에 떠밀려 제품 제조에 Non-GMO를 사용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낄 것이고 이는 관련 산업 전반에 있어 비용 상승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한 비용 상승은 물가 상승으로 직결되어 국민의 실질적 경제 활동에 타격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GMO 표시제 확대에 대한 양측의 입장이 대립하는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 결정의 개방성이다. 개방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양 측의 입장을 편견 없이 수용하고, 동시에 이러한 과정에 이해관계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만 수립된 정책에 대한 사회적 수용력이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최한기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