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 "산란일자 표기 시행에 계란가격오르고 자급률 잃는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계란에 산란일자 표시 의무화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농가들은 우리나라 계란 생산과 유통 기반 시스템을 감안하지 않은 정책이며, 양계농가 및 단체와 합의 없이 진행되었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산란일자 보다는 생산과 유통과정 전반에 걸친 시스템이 계란의 신선도에 관여하는 바가 크다. 오히려 난각에 산란일자를 표시하는 것은 계란이 수많은 숨구멍을 통해 숨을 쉬고 있는 살아있는 식품이라는 것을 놓친 처사”라면서 “해외 사례를 보면 미국, 유럽의 경우 생산 농가 등 중요사항만 표기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며, 주변국인 일본 정부도 포장일, 등금일 등을 농가가 자율적으로 포장지에 표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대다수 계란 유통 운반차량은 냉장시설이 없는 차량을 이용하고 있으며, 판매처에서는 실온 보관 후 냉장판매와 실온판매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판매처 인프라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국내 계란 유통기한을 30일 이내로 두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세계 각국의 상황은 조금씩 다르지만 홍콩 90일, 아프리카 180일, 일본은 상미기간(날계란 섭취 기간) 21일 이후 가열하여 섭취하도록 하고 있다.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이런 상황에서 산란일자 표기가 시행되면 소비자의 혼란이 야기되고, 신선도 보다 산란일자 위주의 구매 패턴이 계란을 낭비하게 하며 이는 곧 소비자 가격 상승을 불러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입장이다.

위원회는 여기에 나아가 계란 자급률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 계란 자급률은 99.5%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다. 그러다 2016년 AI 사태로 계란 품귀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정부가 소비자 물가 안정과 수급 안정 조치로 신선란 수입에 대한 지원을 실시하고 실제 판매로까지 이어졌으나 소비자의 적극적인 선택을 받지는 못했다.

양계 협회 OO도지회의 한 회원은 “국내산 계란이 산란일자의 이유로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면 또 다시 수입산 계란의 소비자 판매가 시작될 것이다. 제과, 제빵 업체들이 생산비 절감을 이유로 수입산 계란을 사용할 경우, 국내 계란은 자급률을 잃고 산업 역시 휘청이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 양계농가 및 단체는 산란일자 표기보다 판매 단계 콜드체인시스템(저온 유통방식) 구축과 계란 유통센터(GP) 의무화를 손봐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또 계란 유통센터(GP)를 통해 계란 이력 추적, AI 방역, 안전성 강화, 시장가격 결정 등 계란 산업을 선진화하고, 계란 유통센터의 안전성을 수시로 검사하여 농장의 안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세계 많은 나라들은 식량 자급률을 확보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높은 계란 자급률을 유지하는 곳은 흔치 않다”면서 “우리나라의 계란 생산, 유통의 현실을 직시하고 철저한 분석과 검증을 토대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김수빈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