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도(難逃) 해석

   이순신이 쓴 《난중일기》에는 일기 이외에도 잡문 형태의 글들이 많이 실려 있다. 갑오년 11월 28일 이후 기록 중에는 중국 명초(明初)의 소설가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에서 인용한 여러 구절들이 있다. 이는 필자가 밝혀내기 전까지만 해도 그 정확한 출처를 전혀 모르고 그저 이순신이 지은 것으로만 알고 있었다.  

  이 중에 특히 “난도(難逃)” 두 글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의문의 글자이었다. 더욱이 따로 독립된 형태로 적혀 있기 때문에 도무지 의미 파악이 되지 않았다. 그래서 필자는 2010년 번역본(민음사)에는 대충 “도망하기 어렵다”정도로 해석했다. 그러나 최근에 이에 대한 정확한 출전을 알고서야 이것이 오역임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도 모르고 간혹 이를 따라 해석하는 이도 있지만, 개정판에는 이를 바로잡아 정확한 출전과 새로운 해석을 실었다. 

  나관중의《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104회 내용을 보면, 난도(難逃)에 대한 용례가 보이는데, 즉 “난도정수(難逃定數)”에서 유래한 말임을 알 수 있다. 해석하면 “정해진 운명을 피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기존에는 도(逃)자를 “도망”으로 풀었지만, 이번에는 원전에 근거하여 “피하다”로 정확히 풀었다. 이를 밝히기 전까지는 독자들이 대부분 도(逃)자를 도망의 의미로 잘못 알고 있었다.  

  난도정수(難逃定數)란 말의 배경은 이러하다. 중국 촉한의 정치가 제갈량이 침상에서 죽음을 앞두고 손수 유표(遺表, 임종시 임금에게 올리는 글)를 써서 한나라 후주에게 전했다. 바로 그 유표의 내용 안에 난도라는 말이 들어 있는 것이다. “삼가 생각건대 살고 죽는 것에는 상도가 있으니, 정해진 운수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죽음이 장차 이르려고 하는데 저의 충정을 다하고자 합니다.” 적벽대전에서 유비를 도와 승리하게 하여 천하에 명성을 떨쳤던 제갈량이 임종하기 직전에 남긴 말이다.

  이순신이 난도(難逃)를 인용하여 일기에 적은 것을 보면 그 역시 전쟁 속에 처한 암울한 현실을 운명으로 돌리고자 한 것인도 모른다. 결국 연일 갑옷을 입은 채 설잠을 자며 하루도 편히 쉴 수 없는 전쟁 속의 번민과 고통을 회피하기 어려운 자신의 숙명으로 치부하고자 한 것이다. 결국 제갈량의 임종도 이순신의 고군분투도 모두 피하기 어려운 운명이었다.  

  일찍이 공자(孔子)도 위(衛)나라에서 진(晉)나라로 들어갈 때 황화에 이르러 조간자(趙簡子)가 무고한 신하들을 죽인 것을 듣고는 “아름다운 강물이 넓지만 내가 건너가지 못하니, 이것이 운명이다.”라고 탄식했다. 이순신은 진전이 없는 지루한 강화협상시기에 남쪽에서 빈발하는 일본의 공격에 대응하여 영등포와 장문포에서 전투를 벌였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왜군을 물리칠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하자 이에 인간의 노력에 한계를 느끼고 “운명을 피하기 어렵다[難逃]”라는 말로 현실을 직시 했던 것이다.  

 

  글 : 노승석 이순신연구가(교감완역 난중일기 저자)

노승석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