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발생한 1천여 개 일부만 남아...해외 유츌?

▲ 전기차 폐배터리의 수명은 6년이다. 2016년과 '17년 발생한 페배터리 대다수가 오간데 없다.

[데일리그리드=강성덕 기자] 재활용가능 전기자동차 폐배터리 2016년 발생분 338개와 ‘17년 753개 배터리 대다수가 오간데 없다.

현재 폐배터리를 보관하고 있는 곳은 페차장이나 자동차 재활용기관 등 전국적으로 모두 12개에 불과하다.

정부가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구축하겠다고 약 200억원의 자금을 신청했으나 3년이 지나도록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삼화 의원(바른당 중소벤처기업위)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두 부처는 각각 약 200억 원 규모의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센터 건립 사업을 기획재정부에 신청했다.

현행법에서는 보조금을 받고 구매한 전기차를 등록말소할 경우 해당 지자체에 배터리를 반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올해 3월까지 지자체들이 회수한 전기차 폐배터리는 겨우 12개 분량. 사업자들이 예측한 누적 발생량 1091대의 1.1% 수준에 불과하다. 처리규정도 없어, 회수한 폐배터리마저 임시보관만 해오고 있다.

게다가 관련법은‘해외 수출용 중고 전기차’는 배터리 회수 대상에서 예외로 두고 있다. 이 때문에 해외로 유출된 물량이 200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면서 재사용 가능자원을 해외로 유출시키는 셈이다.

산업부는 '재사용 배터리 등급판정 기술기준'을 연말까지 제정할 예정이며, 환경부는 올해 4월에서야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방법 및 기준마련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뒷북 행정’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김삼화 의원은 이와 관련, “폐배터리 관리 능력도 없는 정부가 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가며 사업 주도권을 쥐려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이어 “이미 국내외 주요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 사업에 나서고 있으므로, 기업과 시장에 폐배터리 활용을 자율적으로 맡기는 것이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성덕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