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우리도 홍콩시민들의 자유의 외침을 귀담아 들을 때가 됐다.-

지난 9일 거대한 중국에 맞서 103만 명의 홍콩 시민이 참가한 반중(反中) 시위 모습.
지난 9일 거대한 중국에 맞서 103만 명의 홍콩 시민이 참가한 반중(反中) 시위 모습.

 

지난 9일 거대한 중국에 맞서 103만 명의 홍콩 시민이 참가한 반중(反中) 시위가 대만 문제에 이어 미·중 갈등의 새로운 요소로 떠올랐다.

홍콩 전체 인구가 2017년 기준 약 739만 명인 것을 감안 하면 홍콩 시민 7명 중 1명이 시위에 참가한 셈이다.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래 최대 규모다. 2003년 국가안전조례 반대 시위 당시 주최 측 추산인원은 50만명, 2014년 우산혁명 당시는 10만명을 기록한 바 있다.

홍콩의 기업과 상점 수백 곳은 12일 개정 법안에 반대하기 위해 문을 닫기로 하는 등 홍콩 각계의 조직적인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지금 상황으로 봐서는 천안문 사태가 터진 지 30년이 되는 올해 홍콩에서 ‘제2의 천안문 사태’로 격화될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어제도 정부청사 앞에 모인 수만여명의 홍콩 시민들을 향해 경찰은 최루탄과 후추스프레이를 발사하고 학교에 휴교령을 내리는 등 시위대에 대한 강경진압으로 시위대 부상이 속출했다.

홍콩 시민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결국 인도 협정 심사를 연기 시켰다.

하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홍콩 입법회는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2차 심의를 일단 연기했으나 "향후 변경된 심의 개시 시간을 의원들에게 통보할 방침"이라고 했고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홍콩 특별행정구의 법안 개정을 결연하게 지지 한다"며 중국 정부는 여전히 범죄인인도법 개정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홍콩시민들의 거센 저항은 홍콩 정부가 지금 추진하고 있는 범죄인 인도 법안에 반대해 중국이라는 거대한 국가에 맞선 민주화 운동이며, 한편으로는 2013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취임 이후 6년간 강화돼온 홍콩 통제에 대한 불만도 시위를 통해 폭발했다.

홍콩은 현재 '1국 2체제' 하에 있다. 집회의 자유, 언론 자유, 사법부를 포함한 특별 자치권을 보장받는 시스템이지만 중국은 그동안 홍콩을 중국화 하기 위해 하나의 중국을 내세우며 내정간섭과 압박을 해왔다.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시위는 1997년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로 홍콩 야당과 시민단체는 반체제 인사와 인권운동가를 중국에 송환하는 데 악용돼 홍콩의 민주주의와 법치를 침해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해 왔다.

다음날 새벽까지 이어진 시위에서 수백 명이 홍콩 입법회(국회) 앞에서 경찰과 충돌해 부상자가 발생했고 100명 이상 연행됐다.

'범죄인 인도 법'’의 주요 골자는 홍콩으로 숨어든 범죄인을 중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법안이지만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은 중국 정부가 이를 악용해서 인권 운동가 같은 사람들을 중국 본토로 송환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전락 될 수 있다며 분노를 터뜨리고 있다.

홍콩 시민들의 겪한 반응은 최근 수년간 홍콩 정부가 보여 온 '반민주적 행태'에 대한 불신과 분노가 쌓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9월에도 홍콩 정부는 '홍콩 독립'을 주장하는 홍콩 민족당을 강제로 해산했다. 체제 전복이나 폭력 행위를 주창하지도 않은 정당이 단지 정책 노선의 문제로 해산되면서 홍콩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를 바라보는 외국의 반응과 시선은 무척이나 따갑고 우려스럽다.

특히, 미국은 "범죄인 인도법안이 홍콩의 자치권을 인정한 일국양제를 위협하는 것"이라며 중국 정부를 정면 비판하고 나서는 등 미·중 무역전쟁 속에 홍콩 상황은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

홍콩 시민들은 "홍콩 경찰 무력으로 시민을 제압하고 있다"는 내용의 글과 건물에서 촬영한 시위대 진압 과정을 트위터 등 SNS에 올리면서 비슷한 과정을 겪은 한국 사람들의 도움과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한국어로도 자세히 올렸다.

사실 과거에 한국의 6월 항쟁이라든가 민주화 운동 등 80년대 한국 상황과 흡사하다.

하지만 이번 홍콩의 민주화 시위에 대해 자유민주주의를 외치며 정의를 부르짖던 한국 정부와 정치권, 언론은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고 숨 죽이고 있다.

그 동안 민주화를 위해 투쟁해왔다던 시민단체들 조차도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고 있는 홍콩 시민들의 시위에 대해 철저히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평상시 그들의 운동권식 사상(그 들이 평소 써먹던 말들인 민주주의, 자유, 정의, 법치)이라면 마땅히 인권과 자유와 민주를 위해 투쟁하는 홍콩의 민주화 운동을 외면한다는 것은 스스로가 존립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하긴, 문재인 대통령 부터가 취임 후 중국 방문 때 시진핑을 만나는 자리에서 노골적으로 '중국몽(夢)을 함께 꾸겠다', '작은 나라가 중국을 따라가겠다'는 등 사대주의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공개적으로 중국정부를 찬양해 왔다는 비판을 들었으니 말이다.

심지어 그 당시 중국의 외교부장이 국가원수의 팔을 툭툭 치고 수행 기자단 폭행에도 정부는 아무 일 없었던 것 철럼 마치 꿀 먹은 벙어리가 됐으니 국격은 당연히 추락 할 수 밖에 없었다.

중국의 '중국몽(夢)'이 미국을 동북아와 동남아, 서태평양 지역에서 몰아내고 패권국가가 되면서 주변 국가들에게 영향력 행사, 강화하면서 중화패권주의를 부활시키는것에 대해 우리가 굳이 동참할 이유가 있는지 새삼스럽지만 조심스럽게 묻고 싶다.

'민주화로 가는 길은 언제나 험난 하고 멀지만 민주주의는 항상 곁에 있어 왔다.'

홍콩에서 민주화가 진척되고 자치성이 확립돼야 아시아 전체의 안정성을 보더라도 그렇고 인권이라든가 민주주의라는 과정에서 봐도 좋다.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되면서 여러 가지 기본권이 현실적으로 보장될 수 있어야 자유민주주의가 정착 될 수 있다.

이제 우리도 홍콩 시위를 더 이상 '강 건너 불구경 하지 말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해 온 몸을 던지는 홍콩시민들의 외침에 귀담아 들을 때가 됐다.

 

김대은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