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이 기존 제품에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한 지재권(지식재산권) 전략 지원이 추진된다.

특허청은 ‘2018년 글로벌 기술혁신 IP 전략개발’ 사업 추진계획을 확정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술혁신 IP 전략개발’은 기존에 특허분석과 연구개발을 연계하는 전략(IP-R&D)을 올해부터 4차 산업혁명 분야에 맞게 한층 더 발전시킨 것으로, 제품과 그에 융합되는 신성장서비스의 지재권 확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혁신적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전했다.

올해는 작년보다 5.9% 늘어난 46억원의 예산으로 43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며, 제품-서비스 융합 전략형, 서비스 전략형, 제품 전략형 등 3가지 과제 유형으로 운영한다.

업종·분야 간 경계가 사라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고객은 기술·제품 자체보다 최종적으로 효용을 산다고 볼 수 있다. R&D에서도 기술 혁신 못지 않게 고객 효용을 더 높이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 중요해지며, 대표적인 것이 ICT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품에 융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헬스기구 제조 기업의 경우, 헬스기구 사용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 헬스기구를 사용하든 모바일 앱으로 맞춤형 운동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면, 고객을 자사 제품에 붙잡아두는 효과(lock-in effect)는 물론 그 자체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혁신 서비스는 앱과 솔루션만으로 쉽게 모방이 가능해 결국 사업 아이디어를 보호할 수 있는 지재권 확보가 사업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글로벌 공유 서비스 기업인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사업보호에 지재권 전략을 잘 활용한 사례이다. 우버는 요금 산출 방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등을 수백건의 특허·디자인으로 선점하여 경쟁사가 이런 편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고, 에어비앤비도 숙박시설 예약 특허 등으로 후발주자의 진입을 막거나 지연시킬 수 있었다.

지재권에 대한 인식이 낮은 우리 중소기업은 비즈니스 방법, 사용자 경험(UX·UI) 등의 서비스 지재권 확보에 소홀하여 대기업 등의 기술탈취에 쉽게 노출되고 있어, 정부의 적극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허청 김용선 산업재산정책국장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사업 모델도 기술·제품 중심에서 사물지능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 중심으로 이동할 것”이라며, “서비스 융합을 위한 맞춤형 지재권 전략을 통해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수빈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