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학자 윤익영 교수가 들려주는 서양미술 이야기]

“서양미술의 핵심 주제 누드, 누드로 서양미술사를 꿰뚫다”

서양미술사에서 단연 손꼽히는 주제는 ‘누드’다. 누드가 없이 서양미술을 설명할 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술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나 고전의 반열에 오른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서양미술에서 보이는 다양한 누드의 의미를 알아야 하며 그럴 때 비로소 작품세계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흔히 나체를 누드라고 한다. 그러나 나체와 누드는 다르다. 나체가 단지 발가벗겨진(naked) 몸이라면 누드(nude)는 일정한 형식과 의미를 입은 창의적인 몸을 말한다. 어떤 소리가 음악이 되려면 거기에는 의미 있는 형식과 질서가 부여돼야 하듯이, 나체가 누드가 되려면 거기에 어떤 의미와 형식, 표현상의 질서가 부여되어야 한다. 누드의 아름다움은 곧 형식의 아름다움인 것이다. 따라서 사전적으로 누드는 ‘알몸’을 뜻하지만, 학술적으로는 알몸이 만들어낸 ‘미술 형식’을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대가들은 새로운 누드를 탐색하며 명성을 얻어냈다. 누드는 우리 몸에 대한 ‘이상적 상상’을 자극하고 우리의 감정을 정화해 주는 신화적 환상의 산물이었으며, 인문학적 관념의 의인화로서 서양미술의 으뜸 주제로 발전해 왔다.

『서양미술의 꽃, 누드』는 바로 이런 누드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으로, 서양미술사에 정통한 학자로 알려진 창원대 윤익영 교수가 집필하였다. 이 책은 서양미술사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 누드 작품을 핵심 주제별로 소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켈란젤로를 비롯해 티치아노, 고야, 앵그르, 마네, 마티스, 베이컨, 북유럽의 크라나흐, 루벤스, 클림트 등 누드화의 역사에 분명한 전환점을 이룬 인물들의 작품 세계를 다루고 있다. 아울러 누드 역사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선사시대와 고대, 중세시대의 누드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비평가의 주관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사회·역사적 맥락과 관련 근거를 통해 누드의 의미를 객관적이고 치밀하게 밝혀내고 있어 작품세계는 물론 서양미술사 전반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예컨대 19세기 중엽 프랑스 사회를 발칵 뒤집어놓은 마네의 누드화 「올랭피아」를 이해하기 위하여 카페의 여급이었던 모델을 소개한다든지, 미켈란젤로의 조각상「다윗」은 피렌체 공화국의 독립과 자유를 상징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든지 등 당시의 상황을 친절하고 소상하게 밝혀 작품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미술 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평이하고 부드러운 문체로 쓰여 있을 뿐 아니라 작가별·시대별 누드화의 경향을 살펴 서양미술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도판과 그에 대한 충실한 해설 등을 갖추고 있어 일반 대중 교양서로도 손색없는 책이다.

책제목: 『서양미술의 , 누드』

○ 지은이: 윤익영 (現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

펴낸곳: 참터미디어

  : 15,000

[문의] 참터미디어, 02-2279-0208, 010-3258-1994, chamgul0208@hanmail.net

【저자 소개】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파리 판테온-소르본 대학에서 「회화에서의 대칭론-1945년 이후」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술사학자이자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신화, 성서, 알레고리 등 인문학적 관점에서 서양미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시민 강좌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국 추상미술에 나타난 여백의 전통 : 구름길」, 「르네상스 미술 속의 음악 :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파엘로를 중심으로」, 「19세기 프랑스 회화에 음악적 테마가 끼친 영향 : 쿠르베, 마네의 경우」 등이 있으며, 저서로 『카바바조』, 『도상해석과 조형분석』이 있다.

【차례】

이야기를 시작하며…

1. 누드의 조건

  1.1. 고전 누드의 첫 번째 조건, 이상적 추상미

  1.2. 모델의 노출

  1.3. 누드의 두 번째 조건과 쿠르베

  1.4. 「거리의 여가수」로 첫선을 보인 「올랭피아」의 모델

  1.5. 「올랭피아」에 대한 비난과 찬사

2. 아카데미즘 누드

  2.1. 형태가 잘못된 「그랑 오달리스크」

  2.2. 변형의 미를 강조한 앵그르

  2.3. 「오달리스크」의 선정성과 비너스 전통

  2.4. 「그랑 오달리스크」와 「올랭피아」의 차이

  2.5. 살롱전의 기원과 위상

  2.6. 낙선작 전시회의 여파

3. 누드의 반란

  3.1. 두 「마하」를 주문한 젊은 재상 고도이

  3.2. 「옷을 벗은 마하」와 알바 공작부인의 풍문

  3.3. 에스파냐의 유일한 누드화, 「거울을 보는 비너스」

  3.4. 「옷을 벗은 마하」에 대한 종교재판

4. 선사시대의 누드

  4.1. 구석기시대 유럽의 누드

  4.2. 신석기시대 지중해의 누드

  4.3. 팔짱 낀 여인상

5. 누드의 기원

  5.1. 누드의 기원이 된 신적 존재들

  5.2. 이상미(理想美)를 추구한 고전기의 누드

  5.3. 격렬한 감정을 담은 헬레니즘시대의 남성 누드

  5.4. 여성 누드의 조짐, 물에 젖은 옷

  5.5. 벗겨진 여신

6. 고대 로마와 중세의 누드

  6.1. 노출을 꺼린 로마인의 초상

  6.2.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맨발

  6.3. 수치와 형벌의 상징

  6.4. 중세 때 허용된 누드

7. 「다윗」 조각상과 르네상스 누드

  7.1. 고대 조각상의 발굴과 복제 열풍

  7.2. 고대 그리스 조각에 입문한 미켈란젤로

  7.3. 「다윗」 조각상과 미켈란젤로의 수난

  7.4. 자유수호의 영웅상 「다윗」

  7.5. 도나텔로의 「다윗」 조각상

8. 목가적 사랑으로 가득한 티치아노의 누드

  8.1. 목가적 에로티시즘

  8.2. 우물의 요정

  8.3. 에로티시즘을 상징하는 것들

  8.4. 사랑의 묘약을 구하는 연주자

  8.5. 관능미가 절정을 이룬 말년의 누드화

9. 마티스의 푸른 누드

  9.1. 화형당한 마티스의 누드

  9.2. 야수파의 「푸른 누드, 비스크라의 추억」

  9.3. 누드의 모티브가 된 푸른색

  9.4. 향수와 모성 이미지를 담은 말년의 ‘푸른 누드’

  9.5. 모노크롬(단색)의 ‘푸른 누드’와 신사실주의

10. 실존주의 누드

  10.1. 안티(anti) 사상을 낳은 전쟁

  10.2. 앵포르멜의 누드

  10.3. 절망의 육체, 프랜시스 베이컨

  10.4. 육체의 실존

11. 누드를 대신한 세잔의 사과

  11.1. 사과에서 여체를 본 세잔

  11.2. 「풀밭 위의 점심식사」에서 보이는 사과와 에로티시즘

  11.3. 세잔이 사과라는 정물에 몰입하게 된 이유

  11.4. 성적 승화의 도구가 된 사과

12. 북유럽의 누드

  12.1. 누드에 어색했던 북유럽

  12.2. 누드에 자유로웠던 루벤스

  12.3. 누드에 현실감을 더한 렘브란트

  12.4. 성욕과 생식의 아이콘, 클림트의 누드

  12.5. 여성에게 죽임을 당하는 남성

  12.6. 성과 권력의 아이콘, 그로츠의 누드

  12.7. 파이프로 성과 누드를 대신한 마그리트

  12.8. 꾸밈없는 육체의 초상, 프로이트의 누드

13. 미국 누드의 일면

  13.1. 누드화를 대신하지 못한 오키프의 누드사진

  13.2. 차용되고 개작되는 유럽의 누드들

  13.3. 퓌슬과 살르가 보여준 뉴 이미지 페인팅 누드

이야기를 마치며…

<데일리그리드>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