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정보, 기본 인적사항정보 공개 꺼리는 반면, 신체관련ㆍ이력관련 정보 공개에는 거부감 낮아

일본의 인터넷사용자들이 외부에 가장 제공하기 싫어하는 정보는 재산관련 정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민간경제연구소인 야노연구소는, 일본에 거주하는 20~60대의 인터넷 이용자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퍼스널데이터에 대한 소비자의식 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사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기본 정보, 생명·신체관련 정보, 이력관련 정보, 재산관련 정보, 교우관련 정보, 기타 정보 등 6개 분야의 정보항목 중 가장 제공하고 싶지 않은 정보로 재산관련 정보를 꼽았으며, 다음으로 기본 정보를 들었다. 반면 생명·신체관련 정보, 이력관련 정보, 교우관련 정보는 제공에 대한 거부감이 비교적 낮았다.

기본정보는 이름, 주소, 생년월일, 국적, 보유자격을, 생명신체관련 정보는 얼굴인증, 망막인증, 지문, 신장, 체중, 병력을, 이력관련 정보는 GPS위치정보, 행동이력, 상품 구매이력, Web 사이트의 액세스 이력을, 재산관련 정보는 계좌정보, 신용카드번호, 연수입, 채무 등을, 교우관련 정보는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우관계를, 기타정보는 사상신조, 종교, 버릇 등의 정보를 말한다.

조사를 진행한 야노연구소는 재산관련 정보의 노출에 민감한 것에 대해 신용카드번호 등으로 인해 금전을 도둑맞거나, 주소나 이름의 누출로 인해 불쾌한 권유를 받는 등 부정적으로 이용되기 쉽고, 신변의 위험을 느끼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이력관련 정보나 교우관련 정보의 제공에 대해 거부감이 낮은 것에 대해서는, 이들 데이터가 인터넷과 스마트폰, IC카드, SNS 등의 보급에 따라 활성화된 새로운 타입의 정보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기업에 자신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잘 실감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있어도, Web 이용이력, 앱 이용상황, GPS 위치정보, SNS연결 등의 정보가 기업 등 제삼자에 의해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연구소는 앞으로 IoT(Internet of Things)의 발전과 빅데이터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이들 새로운 종류의 데이터를 기업에서 마케팅이나 상품개발에 이용하는 기회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 기본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보호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종류의 퍼스널 데이터의 취급은 아직 정부 주도의 검토 단계에 머물고 있어, 기업이 퍼스널 데이터의 사용에 있어 소비자들의 이해를 구하는 일이 한층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충고했다.

우종철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