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의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소득은 구매력을 보여주는 간접지표일 뿐 실질적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빈곤을 보는 관점이 ‘물질적 부족’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포함한 ‘상대적 결핍’ 개념으로 확대되는 경향이다.

이에 따라 도시노인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사회적 생활영역에서 복지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서울 등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경제수준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불평등 정도는 더 심각한 모습이다.

2010년 한국 노년층 빈곤율이 49%로 나타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고 이들에 대한 경제규모 대비 복지 지원은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실정이다. 또 노년층 자살률은 2011년 인구 10만명 가운데 약 80명으로 나타나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서울노인의 소득빈곤율(상대적 빈곤율)은 31.9%로 전국 평균 45%보다 낮은 편이다. 그러나 소득불균등 정도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는 서울노인 집단에서 0.382로 다른 시도(0.362)보다 높다.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인천, 부산 등 대도시 노인의 경제 형편도 서울과 비슷한 추세다.

이처럼 90년대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소득불균등 정도는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지니계수도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라, 노인가구의 소득불균등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시 노인들은 또 생활 차원에서 결핍을 경험 특히 건강과 사회참여 차원에서 높은 결핍률을 보이고 있으며 열악한 생활영역이다. 여성, 후기고령, 저학력, 무배우, 독거 노인 집단에서 복합적인 결핍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노인복지는 다차원적 접근으로 정책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노인복지 욕구는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여러 생활영역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도시 노인복지정책은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보편적 복지를 지향해야 하며, 비현금적 사회서비스형 정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고위험집단을 확인하고 권역별 사업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과 예산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하도록 한다"고 덧붙였다.

박지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