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라이프와 같은 가상세계가 새로운 정책 홍보 및 결정통로로 인식되면서 세계 각국의 정부 및 공공기관들의 가상 세계 활동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동안 가상세계엔 홍보 및 판촉 등을 목적으로 한 개인 혹은 기업들이 주로 참여해왔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내놓은 ‘가상화 세계의 진화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해양기상청, 스웨던 외교부, 몰디브 외교부, 멕시코 관광국, 아일랜드 여행관광공사, 이탈리아 투스카니 지방정부 등은 가상세계를 새로운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통로로 활용하고 있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정부보다 활동이 자유롭고 정책 실패 위험이 적인 지방정부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가상세계 활동이 활발하다.

공공기관은 정책적으로 민감한 사항을 다루기 보다는 정책 홍보 및 공청회, 교육 프로그램 및 관광 정보, 단순 민원 상담 및 러리 등에 주로 가상세계를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일랜드 여행관광공사는 가상세계를 활용한 관광정보 제공 및 홍보를 통해 관광촉진 효과를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캐나다 밴쿠버 경찰청은 이미지 개선 및 유능한 인력 확보를 위해 세컨드 라이프를 통해 경찰 생활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채용설명회 개최 및 원서 접수 등의 행위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부의 가상세계 참여해 대해 현재로서는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이 함께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가 가상세계에 참여하는 주요 이유는 정치에 무관심한 젊은층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정책결정을 위한 새로운 경로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상세계에서 활동은 ‘평판’이라는 측면에서 위험이 따르고 기존 규제제도에 도전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이 존재할 수 있다.

즉, 단 한번의 실패만으로도 치명적인 이미지 추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정부와 시민 간의 관계는 정부의 구성원에 대한 정확한 신원 확인에 기반하지만, 익명을 보장하는 가상세계에선 여러 신원을 허용해야 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가상세계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선 확실한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범사업을 통한 성과를 바탕으로 검증된 사업을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정부 기관이 직접 관리하기 보다는 공공기관이나 외주업체를 통해 위탁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데일리그리드>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