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신한금융투자

[데일리그리드=이태한 기자]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경영상태가 적자 행보를 보이면서 가장 자금을 많이 줄이는 방법으로 택하는 것이 언론에 지급하는 광고비다.

언론은 주민들이 간접적(광고비,구독료,후원 등)으로 권력을 감시토록하는 수단이자 정보를 습득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2000년대를 들어 인터넷의 영향력이 증대하면서 1인 매체가 급증했고 이는 언론환경의 혼탁으로 이어졌다.

현재 대기업을 출입하는 신문매체는 150~300개 내외. 이들 중 네이버나 다음에 기사를 제공하는 매체들이 대부분이지만 아직 포털사와 계약을 맺지 못한 매체도 상당수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신한금융지주(회장 조용병)가 올초 포털사에 기사가 제공되지 않는 업체에 대해 광고비를 집행하지 않겠다고 나서 언론계에 물의를 빚고 있다.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은 한국SNS신문방송기자협회의 모임에서 단초가 됐다.

협회 기자단의 중역을 맡고 있는 A매체사의 한 기자는“연초 신한지주 홍보팀 관계자를 만나 대화를 하던 중 ‘회사가 어수선한 상황인데 인터넷 언론사를 포함한 신문매체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면서 홍보팀을 찾아오는 매체수가 늘고 있어 문제다’라는 말과 함께‘N사나 D사 등 포털에 기사가 나가지 않으면 광고비를 책정하지 말라는 것이 회사의 방침이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홍보팀 관계자는 ‘이번에 N사에 포함된 매체들 중 이름도 모르는 매체들이 불쑥 찾아와 자신들의 매체가 N사와 거래를 하게 됐으니 광고비를 책정해 달라고 요구하는 사례가 늘었다. 지금의 업체들도 줄여야 할 판인데 난감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다른매체를 운영 중인 B사 대표는 “매체를 오픈해 수년간 기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 D사에도 공급을 못하는 상태여서 매체를 알리기가 어려운 상태이며 회사를 운영하는데까지 어려움이 있다”면서 “실례로 거래하던 기업에서 포털에 가입이 안됐다는 이유로 더 이상 광고비를 받지 못하게 된 상태”라고 하소연했다.

국내 기업들은 올해에 지급할 광고예산비를 전년도 연말에 책정한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고위직들이 경영상태를 지적하며 해마다 예산광고 홍보 예산을 10~30% 가량 줄이고 있는 상태다.

그렇다면 홍보비의 지급 기준은 어떻게 책정될까.

한 기업의 홍보팀 관계자는“우선적으로 남들에게 많이 알려지고 포털에 뜨는 매체를 우선수위로 삼고 있으며 기업출입을 오래한 업체, 좋은 기사를 많이 내주는 업체 등이 우선순위로 책정되어 연간 수천만원이상 집행되고 있다”면서 “포털에 기사가 노출 되지 않거나 영향력이 작은 매체는 상대적으로 광고비가 적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태한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그리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